혹시 글을 쓰다 이런 경험 있으셨나요?
“이 단어, 맞춤법이 맞나?”
“이건 붙여야 해? 띄어야 해?”
“‘되’랑 ‘돼’는 여전히 헷갈려…”
“내가 쓴 글이 이상하다는 건 알겠는데, 뭐가 틀린 건지 모르겠어…”
학생 시절엔 당연하게 배운 국어 문법.
하지만 성인이 된 지금, 문장을 쓸 일은 더 많아졌는데
정작 문법은 기억에서 멀어졌죠.
특히 SNS, 이메일, 보고서, 블로그를 쓸 때
문법 실수가 잦아지면 신뢰도와 전문성도 함께 떨어질 수 있어요.
그래서 오늘은!
성인도 다시 배워야 할 국어 문법 핵심 포인트를
✔ 맞춤법
✔ 띄어쓰기
✔ 자주 틀리는 표현
✔ 실전 예문 중심으로
쉽고 실용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!
지금 바로 글쓰기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보세요 😊
📚 목차
- 헷갈리는 맞춤법 핵심 정리
- 띄어쓰기 실수 줄이는 요령
- 자주 틀리는 표현 & 단어 비교
- 실전 예문으로 문법 감각 익히기
- 총정리 및 마무리
📝 1. 헷갈리는 맞춤법 핵심 정리
맞춤법은 ‘틀리지 않기’보다는
‘이해하고 써보기’가 중요해요.
아래는 특히 많이들 헷갈리는 맞춤법 리스트입니다!
✅ '되' vs '돼'
구분 | 예시 | 설명 |
되 (되다) | 일이 되면 연락 주세요 | '되다'의 활용형 |
돼 (되어) | 그 말이 맞는 것 같아, 그렇게 돼 | '되다' → ‘되어’ 줄인 말 |
💡 꿀팁: 문장에 ‘되어’를 넣어서 자연스럽게 읽히면 ‘돼’가 정답!
✅ '않다' vs '안'
구분 | 예시 | 설명 |
않다 | 하지 않다, 먹지 않다 | 부정의 동사 (용언 형태) |
안 | 안 먹는다, 안 간다 | 부정 부사로 동사 앞에 위치 |
💡 ‘안’은 띄어 쓰고, ‘않다’는 동사로 활용형 주의!
✅ '들르다' vs '들리다'
구분 | 예시 | 설명 |
들르다 | 집에 들르다 | 잠깐 방문하다 |
들리다 | 소리가 들리다 | 감각적 인지 (보이다, 들리다 등 수동적 표현) |
✅ '맞히다' vs '맞추다'
구분 | 예시 | 설명 |
맞히다 | 정답을 맞혔다 | 정답을 알아맞힘 |
맞추다 | 옷을 맞췄다, 시간을 맞추다 | 조정하거나 조율함 |
💡 시험에서는 ‘정답 맞히다’ / 커플 옷은 ‘맞추다’!
🧾 2. 띄어쓰기 실수 줄이는 요령
띄어쓰기는 우리말 문법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 중 하나예요.
하지만 몇 가지 공식만 익혀두면 실수가 확 줄어듭니다!
✅ 조사, 의존명사, 단위는 띄어 쓴다
- 의존명사: 것, 수, 줄, 점 등은 앞말과 띄어 씀
- 예: 아는 척을 하다 → ❌ / 아는 척을 하다 → ✅
- 예: 두 배로 늘었다 → ❌ / 두 배로 늘었다 → ✅
✅ 관형사 + 명사 형태는 붙이지 말 것
- 예: 이쁜것 → ❌ / 이쁜 것 → ✅
- 예: 작은집 → ❌ (단, '작은집'이 ‘삼촌댁’ 의미일 땐 ✅)
✅ 수사 + 단위는 띄어쓰기
- 예: 5개 → 다섯 개
- 예: 3분 → 세 분
- 단위 명사는 띄고, 숫자 뒤는 한글로 쓰는 게 원칙
✅ 조사(은/는/이/가 등)는 붙여 쓴다
- 밥은 → ✅
- 강아지가 → ✅
- 사람과 사람은 → ✅
🔁 3. 자주 틀리는 표현 & 단어 비교
아무리 많이 봐도 헷갈리는 표현들.
이쯤에서 정리하고 넘어가요!
✅ '헷갈리다' vs '헷갈린다'
- ‘헷갈리다’는 표준어
- ‘헷갈린다’는 ‘헷갈리다’의 현재형
- ✅ 예: 이 단어 정말 헷갈린다
✅ '가르치다' vs '가리키다'
구분 | 예시 | 설명 |
가르치다 | 영어를 가르치다 | 지식 전달 |
가리키다 | 방향을 가리키다 | 손, 말로 방향·대상 지시 |
✅ '왠지' vs '웬지'
- ‘왠지’ → 왜인지 모르게
- ✅ 예: 왠지 불길한 느낌이 들어
- ‘웬’은 ‘웬일이야’처럼 의문사로 사용
- ✅ 예: 웬일이야, 너 여기서 다 보네?
✅ '안절부절못하다'
- 틀린 표현: 안절부절 못 하다 ❌
- 맞는 표현: 안절부절못하다 (한 단어)
✅ '하노라' vs '하느라'
- 하노라 → 고전 표현, 문어체
- 하느라 → 현대 표현, 사유 설명
- ✅ 예: 밥 먹느라 못 받았어
✍️ 4. 실전 예문으로 문법 감각 익히기
아래 문장을 보고 잘못된 부분을 찾아볼까요?
🔹 예문 1
❌ “나는 어제 너의 말을 안들었어.”
✅ “나는 어제 너의 말을 안 들었어.”
👉 ‘안’은 부사, ‘들었어’는 동사 → 반드시 띄어 써야 함
🔹 예문 2
❌ “회의시간에 늦지 않도록 하겠습니다.”
✅ “회의 시간에 늦지 않도록 하겠습니다.”
👉 ‘회의시간’은 띄어쓰기 필요 (‘회의’라는 명사 + ‘시간’ 의존명사)
🔹 예문 3
❌ “그는 문제를 맞췄다.”
✅ “그는 문제를 맞혔다.”
👉 정답을 알아맞히는 건 맞히다
🔹 예문 4
❌ “그는 나를 가르켰다.”
✅ “그는 나를 가르쳤다.”
👉 ‘가르치다’의 과거형은 가르쳤다, ‘가르키다’는 방향 지시용
🔹 예문 5
❌ “왠지 오늘은 좋은일이 생길 것 같아.”
✅ “왠지 오늘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아.”
👉 ‘왠지’는 맞지만 ‘좋은일’은 ‘좋은 + 일’로 띄어 써야 함
🧾 5. 총정리 및 마무리
국어 문법은 우리가 매일 쓰는 언어지만,
제대로 알고 쓰는 사람은 생각보다 적어요.
그러나 일단 몇 가지 패턴만 익혀두면
문법 실수가 확 줄고, 글쓰기가 더 자신 있어집니다.
📌 오늘의 핵심 요약
✔️ ‘되/돼’, ‘맞히다/맞추다’ 등 헷갈리는 맞춤법 구분
✔️ 띄어쓰기는 의존명사, 단위, 조사는 규칙적으로 구분
✔️ 자주 틀리는 표현은 예문과 함께 기억하기
✔️ 실전 문장으로 자주 쓰이는 구조 반복 학습
✔️ 문법은 ‘암기’보다 ‘패턴’과 ‘이해’가 중요
언어는 곧 내 생각의 표현입니다.
더 정확한 국어는 더 정확한 내가 되는 방법이에요.
오늘부터 하루 한 문장이라도, 문법 감각을 키워보세요 ✨
'사회. 경제. 지식. 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대선 & 정치 시스템 가이드 - 국제 이슈 및 영향, 시사 초보를 위한 설명 (2) | 2025.07.17 |
---|---|
2030의 눈으로 본 사회 변화 – MZ세대의 결혼관, 직장문화, 이직 인식 변화, 워라밸 가치관 (4) | 2025.07.14 |
비전공자도 이해하는 AI 기초 개념 – 인공지능·머신러닝·딥러닝 차이, 사례 기반 설명, 실생활 적용 (3) | 2025.07.12 |
정치 용어 쉽게 풀기 – 정당, 개헌, 법안, 국회 구조 등 정치 시스템 해설 (1) | 2025.07.09 |
MZ세대가 체감하는 사회 이슈 – 20~30대 시각으로 보는 부동산, 일자리, 저출산, 병역 등 (3) | 2025.07.07 |